작은 아씨들, 믿고 보는 김고은의 tvN 드라마
방영 채널: tvN 방영 기간: 2022.09.03. ~ 현재 방영중 (토, 일) 오후 09:10분 방송 극본: 정서경 연출: 김희원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 출연: 김고은, 남지현, 박지후, 위하준, 엄지원, 엄기준, 김미숙, 강훈, 전채은, 공민정, 조승연, 박보경 등 한국판 명작, 작으면서도 크고 낮으면서도 높은 이야기(스포일러 포함) 작가는 젊은이들이 주가 되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전했습니다. 돈과 함께 흘러가는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말입니다. 명작으로 불려지는 작은 아씨들은 어린 소녀들에게는 마음을 울리는 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는 이 책의 주인공들이 현대의 한국에 있다면 어떻게 성장해 나아갈지에 대한 상상으로 이야기를 썼다고 합니다. 삶은 계란 케이크로 생일파티를 할 만큼 가난한 여주인공..
2022. 9. 13.
현재는 아름다워, 시청률 28%의 주말 드라마
방영 채널: KBS2 방영 일정: 2022.04.02. ~ 방영중(토, 일) 오후 08:00 연출: 김성근 극본: 하명희 제작사: SLL, 드라마하우스 스튜디오, 콘텐츠 지음 출연: 윤시윤, 배다빈, 오민석, 신동미, 서범준, 최예빈, 박인환, 박상원, 김혜옥, 반효정, 박지영, 변우민, 김강민 등 드라마를 본 후 주말드라마는 장기적으로 방영되는 만큼 대중들에게 배우 인지도를 쌓는데 장점이 있습니다. 배우 박서준의 경우 주말드라마 조연부터 시작해 주말 주연, 미니시리즈 조연 후 주연 등 가장 단계적으로 좋은 행보를 이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드라마의 주인공인 윤시윤 배우님은 오히려 역행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이번 드라마에서 상당히 안정적인 연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드라마에서는 ..
2022. 8. 30.
지구오락실, 태국숙소 어디야? 나영석PD와 MZ세대의 만남
제목: 뿅뿅 지구 오락실 방영 채널: tvN 방영 기간: 2022.06.24. ~ 현재 방영중 *금요일 저녁 08시 50분 /티빙에서도 시청 가능합니다. 연출: 나영석, 박현용 작가: 이우정 출연: 안유진, 이영지, 이은지, 미미 새로운 세대와 나영석 PD의 만남 KBS 대표 예능 PD였던 나영석 PD는 tvN으로 이적하였었습니다. 그 후에도 많은 예능을 성공시켰습니다. 신서유기, 출장 십오야, 윤스테이, 여름방학, 삼시세끼, 꽃보다 할아버지 등 많은 프로를 성공시켰습니다. 해당 프로그램들의 스핀오프들도 모두 성공시켰고, 시즌제를 정착시켰습니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예능을 그대로 따왔다는 여론도 있지만, 여전히 나PD의 예능은 인기가 많습니다. 신서유기가 시즌8까지 나온 현재 시점에 나PD는 너무 오랜 시..
2022. 8. 22.
인어아가씨, 과거 드라마 리뷰
제목: 인어아가씨 방영기간: 2002.06.24~2003.06.27 연출: 이주환 극본: 임성한 출연: 장서희, 정영숙, 박근형, 한혜숙, 우희진, 김성민 이야기 오늘 리뷰는 옛날 드라마를 추억하며 2022년도에 방영한 임성한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임성한 작가님은 막장드라마의 선봉에 서계시는 분이지만, 나름의 철학과 스토리가 탄탄한 작품들을 내놓으시는 작가로 악플은 많아도 찾아보게 되는 드라마를 쓰시는 것 같습니다. 막장드라마이지만 다른 작가들과는 차원이 다른 자신만의 색깔이 확고한 임성한 작가의 드라마는 독특하고 특유의 세계관과 말투가 있습니다. 임성한이라는 이름은 필명이고 본명은 임영란입니다. 막장드라마 하면 떠오르는 드라마들이 몇가지 있는데 오늘 소개해드리는 작품외에도 , , , 최근엔 등 내노라하..
2022. 8. 4.
오늘의웹툰, 유도선수 김세정의 변신!
제목: 오늘의 웹툰 방영기간: 2022.07.29~ 현재방영중(금, 토) 오후10:00 방영채널: SBS 연출: 조수원, 김영환 극본: 조예랑, 이재은 제작사: 빈지웍스, 스튜디오N 드라마이야기 드라마 은 SBS 금, 토 드라마로 밤 10:00에 방영을 시작하였습니다. 만화책을 보던 세대에서 웹툰의 세대로 변화한 것은 최근의 일이 아니듯이, 웹툰 시장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콘텐츠의 시대로 그중 한국 웹툰 시장의 규모는 1조 원을 육박하였습니다. 주변을 둘러보아도 지하철, 버스 등 현대인의 일상에 깊게 자리 잡은 웹툰은 이미 천만 관객 영화의 원작이 되기도 하고 연극, 게임, OTT 플랫폼 영상 등 웹툰이 없는 콘텐츠는 상상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웹툰을 재 시간에 업로드 하기 위한..
2022. 8. 1.